STP 기법을 상세페이지 기획에 반영해보세요. 😀 😅안녕하세요! 설득을 위한 디자인, MDMdesignstore입니다.
상세페이지 제작에 필요한 간단한 마케팅 지식을 공유드립니다.
상세페이지 디자인 전략 STP편!
고객을 세분화하고, 타겟을 설정하며, 제품의 적절한 포지셔닝 하는 마케팅 기법을 통해
상세페이지 디자인 전략을 만드실 수 있도록 준비해 봤습니다.
|
|
|
|
1. STP 전략이란?
STP 전략은 세그먼테이션(Segmentation), 타게팅(Targeting), 포지셔닝(Positioning)의 약자로, 마케팅의 핵심 단계들을 말합니다. 이 전략은 고객을 세분화하고, 타겟을 설정하며, 제품을 적절히 포지셔닝함으로써 효과적인 마케팅을 가능하게 합니다.
|
|
|
2. 고객 세분화(Segmentation)
먼저 시장을 세분화하는 방법을 알아볼까요? 예를 들어, 럭셔리 기초화장품을 판매하는 경우, 고객을 연령대, 소득, 성분 선호도, 스킨케어 관여도 등 다양한 기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 이렇게 나누면 각 그룹의 특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어요.
|
|
|
-
연령대: 20대, 30대, 40대 등
-
소득: 고소득, 중소득
-
성분 선호도: 자연 성분, 과학 성분
-
스킨케어 관여도: 고 관여, 저 관여
이렇게 세분화된 그룹을 통해 각각의 필요와 요구를 더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. |
|
|
3. 타겟팅(Targeting)
다음은 타겟팅 단계입니다. 세분화된 시장 중에서 가장 매력적이고 잠재력이 큰 그룹을 선택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고소득 30대 여성 중 전통 한방 성분을 선호하고, 스킨케어에 높은 관심을 가진 고객이 타겟이 될 수 있습니다.
타겟팅을 통해 마케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, 맞춤형 마케팅이 가능해집니다. |
|
|
4. 포지셔닝(Positioning)
마지막으로 포지셔닝 단계입니다. 선택된 타겟 시장에 맞춰 제품을 어떻게 위치시킬 것인지 결정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"천연 한방 성분으로 만든 고급 스킨케어 제품"이라는 포지셔닝을 할 수 있습니다. 이는 타겟 고객의 요구와 일치하며, 제품의 강점을 잘 부각시킵니다.
포지셔닝은 고객에게 제품의 가치와 차별성을 명확히 전달하는 데 중요합니다. |
|
|
STP를 반영한 상세페이지 디자인
STP를 바탕으로 상세페이지 디자인을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|
|
|
1. 내 타겟에 맞춤형 소구점 정리하기
타겟이 원하는 맞춤형 소구점으로 상세페이지의 내용을 정리해 보세요. 예를 들어 전통 한방 성분의 효능을 강조할 수 있도록 성분들이 각각 스킨케어에 어떤 효과를 가지는지 정리해 볼 수도 있고, 일반 스킨케어와 비교해 한방 성분을 가진 화장품이 갖는 장점을 비교하는 형태로도 상세페이지 내용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.
*성분, 효능 등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디자인 템플릿, 비교를 위한 디자인 템플릿을 활용해 간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. |
|
|
성분 효능 등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페이지 디자인 템플릿 |
|
|
2. 시각적 요소
고소득 타겟이라는 점에 맞추어 패키지 디자인을 강화해 사진 촬영을 해보세요. 고퀄리티의 이미지와 일관된 색상으로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습니다. 또한 상품 촬영 시 한방 원료들과 함께 촬영해 제품의 이미지를 더 강화시킬 수도 있습니다. |
|
|
AI로 생성한 타겟 무드 이미지 / 시각적 요소를 배경으로 한 상세페이지 디자인 템플릿 |
|
|
3. 사용자 리뷰
상세페이지 제작 전 샘플을 나누거나 사전 체험단을 통해 사용자 리뷰를 만들어보세요. 리뷰를 만들면서 동시에 우리 제품의 타겟을 만나볼 수 있어 여러 면으로 도움이 됩니다. 사용자 리뷰도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체험을 보여주는 형태가 아닌 우리 타깃이 공감할 수 있는 리뷰를 중심으로 선택해 일부만을 보여줄 수 있도록 노력해 보세요. |
|
|
AI로 생성한 타겟 무드 이미지 / 시각적 요소를 배경으로 한 상세페이지 디자인 템플릿 |
|
|
필요하셨던 내용이셨나요? 해당 내용을 반영한 기획서와 탬플릿을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. |
|
|
설득을 위한 디자인이 필요하다면, MDMdesignstore |
|
|
|